교육학부/교육공학

[교육공학] 원격교육론/교육학과/과제/원격교육이란 무엇인가(+의견)

아보코도 2019. 10. 18. 01:05

   

원격교육이란 무엇인가와 그에 대한 의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박성아 

 

   원격교육이란 개별화된 교육부터 집단 교육까지 다양한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 방식이다. 강의의 내용을 토대로 했을 때 원격교육을 이해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원격교육의 정의와 구성요소는 계속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원격교육의 정의에 조직화, 구조화됨으로써 자기학습, 독학과 구별그리고 개별학습을 목적으로 함등이 포함되어 있었다면 이제는 조직화나 구조화되지 않고도 원격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개별학습뿐만 아니라 집단학습의 형태로도 원격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그리고 그러한 원격 교육이 실제로 실행된 후에 발생하는 한계점 등을 보완해서 원격 교육이 발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당연한 현상이다. 나아가 고전적으로 원격교육이라 함은, 인쇄매체나 텔레비전 등의 전통적인 매체를 통한 원격 교육까지 포함하고 있는데, 요즈음에는 원격교육이 곧 e-learning 이라고 생각할 만큼 인터넷, IT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격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로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매체를 이용한 원격교육이 존재하고 있지만 미래에는 원격 교육의 정의와 e-learning의 정의 간의 차이점이 거의 없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 예측한다.

 

   원격교육은 현재 학습자의 정의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방식이다. 첫째, 지금까지 학습자 혹은 학생이라고 하면 학교라는 공식적인 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받는 사람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원격 교육 특히 그 중에서도 e-learning의 세계에서는 학교라는 공식적 교육기관이 없어도 학습자가 존재할 수 있다. 특히 가장 가시적인 요소인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시간,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원한다면 무엇이든 배울 수 있다. 둘째, 원격교육을 활용하면 타율적인 학습동기보다는 내재적 학습동기를 기르는 데 효율적일 수 있다. 현재 특히 우리나라 학생들의 문제점은 자기주도적학습이 가능한 학생들은 소수의 상위권 학생들뿐이라라는 것이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남에게 뒤처지기 싫어서, 중요한 타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보여주기 식의 공부를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학원의 레벨 나누기 시스템은 개별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맞춤형 수업을 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학생들이나 학부모가 레벨에 집착하여 공부의 본질을 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대부분이 사교육을 이용한다는 점에 비추어 보았을 때 원격교육으로 사교육의 단점을 보완한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원격 교육을 이용한 개별 학습을 통해 시험 결과, 자신의 현재 위치 등을 보여주기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자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잘하는 부분을 더 강화하여 내적 동기로서 공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고 이는 현재 그리고 앞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원격 교육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교육 방식으로 파생된 한계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방식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기술에서 파생된 문제점들을 보완해나가면 앞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현재로서도 그러하지만 앞으로 더욱 전통적인 교육 매체보다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매체가 원격 교육 수단의 주를 이루게 되면서 기술의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아있다고 할 수 있다. 원격 교육의 발전을 통해 교육이 더 이상 학교에만 국한된 보수적인 영역이 아닌 인간의 삶 전반에 스며들 수 있도록 돕는 기술,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참고하실 때 출처 밝혀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