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부/교육공학

[교육공학] 원격교육의 발달 / 원격교육의 역사 / 대학생 / 과제 / 교육학과

by 아보코도 2019. 10. 19.

원격교육의 발달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각 시기별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원격 교육의 성장은 과학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적 변화, 또한 그에 따른 학습자의 요구의 변화와 그 맥락을 같이 하였다. 원격 교육의 발달 과정은 시기별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그 발달이 결코 선형적이지는 않다. 예를 들어 제 2세대와 제 3 세대에도 제 1세대의 방식이 여전이 이용될 수 있고 그 이후의 세대에서도 그러하다. 이전세대가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바탕이 되어 이후 세대들에 계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원격 교육의 발달 과정을 세대별로 구분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4세대 혹은 5세대라고 볼 수 있는 현재에도 1세대의 방식과 같은 학습지 형태의 원격 교육이 일어나고 있으며, 또한 ebs채널 혹은 라디오를 통한 교육방송으로 2세대의 특징적인 원격 교육이 일어나기도 한다.

 

최초의 원격 교육, 1세대 원격 교육은 우편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원격 교육은 인쇄교제를 통해 통신을 했다는 점에서 통신 교육이라고 불린다. 이는 인쇄 교제에 안내된 내용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교육적 상호작용이 가능했으며 이는 후에 기존 대학의 확장 그리고 프로그램으로서 통신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데까지 이르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시기에는 원격 교육을 시도하여 기존의 교육 대상자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확대했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 세대인 2세대는 대중 매체를 위한 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이 시기에는 대중매체와 방송매체를 통한 원격 교육이 이루어졌고 인지주의 학습이론이 그 기반이 되었다. 또한 대량으로 값비싼 매체를 제작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이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다만 학습자와 교수자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여전히 제 1세대의 통신교육의 형태에 의존하였다. 후에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한계점이었던 일방적인 교육의 문제점을 쌍방향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전화로서 보완하기도 하였다.

 

3세대는 정보통신공학을 위한 원격 교육이 가능해진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원격통신공학에 기반한 비동시적 상호작용과 동시적 상호작용이 모두 가능했고 개별 학습자가 오직 교수자와 상호작용하여 지식을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것이 아니라 학습 집단의 구성원으로써 직접 지식을 재창조 할 수 있음을 추구하는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시기에는 학습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학습자끼리의 상호작용 또한 가능하게 한 교육이었다. 이는 기존 1세대와 2세대에서 원격 교육을 개별학습자에만 초점을 둔 점, 그리고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간과한 점 그리고 학습자가 학습한 지식을 재창조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 이 시대에서 현재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사이버대학, 가상 대학의 형태가 출현하였다.

 

4세대는 지식기반 사회라는 사회적 배경과 함께 인터넷을 기반으로 원격 교육이 이루어졌다. 4세대부터 현재 우리에게 익숙한 원격 교육 자원, e-learning 방식이 나타났다. 이때부터 제 3세대보다는 보다 정교하게 개별 맞춤 학습이 가능해졌고 교수자보다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

 

5세대는 단순히 지식 기반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에서 나아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더 이전보다 상당히 발전한 형태의 원격 교육이 실현되는 단계이다. 현재 이미 빅테이터나 인공지능을 활용한 원격 교육 프로그램 혹은 학습 플랫폼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상태이고, 5세대는 현재 보유한 데이터를 어떤 기술을 활용하여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그 발전 정도가 무궁무진하게 달라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