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부/교육공학

[교육공학] 교육공학을 전공하면 어떤 직업 가질 수 있을까? 교육공학 직업/교육공학 전공/교육공학 진로

by 아보코도 2020. 5. 1.

교육공학을 전공하면 어떤 기관에서, 어떤 직업을 갖고,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1. 교육공학이란 ? 

 

: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이란 미국 교육공학회의 정의에 따르면, 적절한 공학적 과정과 자원을 창출하고 활용하여 관리하여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와 윤리적 실천이다(Januszewski & Molenda, 2008).

 

 

2. 교육공학의 학문적 성격

 

 : 교육공학은 과학적이고 조직화된 지식을 문제 상황에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처방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 교육공학을 전공한 사람은 어떤 기관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먼저 직종별로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 있지만 간단하게 다섯 개로 추려보았다. 

 

 

학계 및 교육계  ·고등학교 교사, 교수 ,대학교수학습센터 전문가 등 
연구 및 개발 분야 

교육공학 연구원, 교재개발, 이러닝 개발, 교육컨텐츠제작,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등 

기업 HRD 전문가, 기업교육전문가, 인사관리 담당자 등 
언론계 교육방송 연출가, 기자, 교육 전문가로서 방송인 등 
공공·정부 기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 연구원 등 

 

 

 

그 중 두 가지 직업을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1 기업교육 전문 회사에서의 교육 콘텐츠 기획자

 

 

  교육 콘텐츠 기획을 하는 회사들 중 크레듀라는 회사가 있다. 

크레듀는 삼성 인력개발원에서 분사하여 2000 5 4일에 설립되었으며 

2016년에 현재의 상호인 멀티캠퍼스변경하였다.

 멀티캠퍼스는 온·오프라인 기업 교육, 외국어 평가 및 교육 서비스, 지식서비스,

IT 특화교육 등 기업 맞춤형 HRD 교육, 이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회사이다. 

그 중 교육 콘텐츠 개발 그룹의 주 업무를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멀티캠퍼스 로고

   콘텐츠 개발 그룹은 기업이 직원들의 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로 하는 리더십, 직무, 외국어 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개발 기간은 짧게는 1달 길게는 1년까지 다양하며 한 번에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프로젝트의 진행은 고객 기업의 교육 담당자와 미팅, 설계안 작성, 스토리보드 작성, 

개발물 검수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콘텐츠 개발이라고 해서 스토리보드 작성부터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현하는 일까지

교육 공학 전문가가 혼자서 다 해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앱이나 웹으로 구현하는 것은 프로그래밍 전문가(개발자) 가 담당한다. 

 

교육 공학을 전공하고 회사에 들어가게 되면 PM(Project Manager 이하PM) 로서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수행한다.

PM은 교육과정의 교육 효과성과 품질 관리, 프로젝트 일정 관리, 고객사와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과정 전체에 대한 기획과 콘셉트 수립 등의 관리자(Manager)로서의 비중과 중요성이 크다.

 

이러한 일을 하는 콘텐츠 개발자에게 필요한 역량은 커뮤니케이션능력과 꼼꼼함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교육 이론, 교육 방법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기본적으로 갖춰야 한다.

학습자의 업무, 자기계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객사와의 미팅 그리고 프로젝트 팀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이기 때문에

협업능력, 의견 조율능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계획된 일정에 맞춰서 일을 끝내는 능력, 꼼꼼하게 점검하고 질 좋은 결과물을 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2. 기업 내 HRD 전문가 (교육담당자)

 

   교육공학을 전공한 사람들은 회사에 취직했을 때 인사팀에서 일을 할 수 있다. 

인사관리는 채용과 평가, 보상, 배치 등을 관리하는 HRM(Human Resource Management)

인적 자원의 교육, 훈련, 육성, 역량개발, 경력관리 및 개발 등을 관리하는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로 구분된다.

 

HRD는 교육 대상자가 현재 처해있는 현재상태와 목표로 하는 상태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충족시키는 것을 중점으로 하여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이것이 기업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주는 것을 추구한다.

 

교육공학을 전공하고 기업의 HRD 전문가로서 일을 하는 데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이는 HRD 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전문 지식 영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HRD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전문 지식 중 교육공학과 관련된 영역들을 알아보자. 

 

먼저 교수설계(Instructional Design)이다.

HRD 전문가는 전통적인 학습뿐만 아니라

모바일 학습, 소셜 학습, 무형식 학습에 대한 내용까지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교육 대상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교수 기법을 선정하여 커리큘럼 및 프로그램을 설계한 뒤 교수 자료를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학습 전이를 확인하고 평가 계획을 수립하는 것까지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훈련전달(Traning Delivery)이다. 

이는 학습 대상자에게 학습물을 전달할 때 일어나는 활동으로 교수법과 교육의 운영을 의미한다. 

교육 전에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자료를 준비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학습 과정의 목표와 대상자의 니즈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수정·보완한다. 

또한 학습 중에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켜 학습자가 끝까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는 학습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결과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니즈와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교수 전달 방안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학습 테크놀로지(Learning Technologies)에 대한 숙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습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도 요구된다. 

회사의 예산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학습 내용의 양을 선정하고

적절한 기간에 배치하여 예산, 인력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과 함께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